목록갈래 모두 보기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 국립국어원에서 2015년 8월 19일 요청으로 "공공누리 유형별 지음권 안내"를 담습니다. ==========================================================제1유형: 출처표시,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제2유형: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제3유형: 출처표시,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제4유형: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국어의 기초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영역의 어휘를 중심으로 ―오 미정 1. 서론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1 1.3 선행 연구 22. 기초어휘의 개념과 선정10 2.1 포괄적 기초어휘 개념의 구분10 2.2 기초어휘의 의의20 2.3 기초어휘 선정의 방법303. 국어의 의미영역46 3.1 기초어휘 수준 어휘집의 의미영역 47 3.2 기초어휘 수준 이상 어휘집의 의미영역55 3.3 국어의 의미영역584. 영역의 기초어휘 선정69 4.1 영역의 어휘 69 4.2 통계적 기준의 적용 79 4.3 형태적 기준의 적용81 4.4 의미적 기준의 적용84 4.5 영역의 기초어휘955. 결론99 참고문헌103
【 #한말글_현대사 】에서 오늘을 전합니다. 더 많은 내용은 한말글 현대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954년 7월 3일 표기법 간소화 공동안. 문교부, 공보처. (1) 받침은 끝소리에서 발음되는 것에 한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 사용하던 받침 가운데 ㄱ, ㄴ, ㄷ, ㄹ, ㅁ, ㅅ, ㅇ, ㄺ, ㄻ, ㄼ 등 10개만을 허용한다. 다만, 받침으로 사용된 때의 `ㅅ`의 음가는 `ㄷ`의 음가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ㄷ`은 받침으로 아니 쓴다. (보기: 믿다 → 밋다 밋고 미더 미드니) (2) 명사나 어간이 다른 말과 어울려서 딴 독립된 말이 되거나 뜻이 변할 때에 그 원사(原詞) 또는 어원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3) 종래 인정되어 쓰이던 표준말..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문금현 국문 초록Ⅰ. 서론1 1.1. 연구사1 1.2. 반성 및 연구 방향 6 1.3. 연구 자료8 Ⅱ. 기본적 논의17 2.1. 용어의 개념 및 범위 설정17 2.2. 판정 기준 및 검증법 24 2.3. 경계 문제27 2.3.1. 단어와 구의 경계에 있는 부류 28 2.3.2. 구절 중에서 경계에 있는 부류 29 2.3.3. 문장 내에서 경계에 있는 부류 33 Ⅲ. 유형 분류36 3.1. 형식적 차원의 분류36 3.1.1. 관용어37 3.1.2. 관용구37 3.1.3. 관용절40 3.1.4. 관용문41 3.2. 의미적 차원의 분류44 3.2.1. 의미 특성에 의한 분류44 3.2.1.1. 감정 및 심리 표현44 3.2.1.2. 행위 표현45 3.2.1.3. 상황 표현45 3.2.1..
국어의 격여과 회피 기제에 관하여-자립격의 정립을 위하여-김의수 1. 문제 제기2. 명사 포합(Noun Incorporation)과 자립격 허가(Default Case License)3. 격 여과 회피와 경제성(Economy) 고려4. 형식동사 ‘하-’의 기능5. LF의 해석가능성(Interpretability)과 ‘하-’의 허사적 속성6. 자립격(Default case)과 의존격(Non-default case)7. 요약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