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56 본문

토박이말 바라기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56

토박이말바라기 2018. 9. 19. 11:55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56- 별자리붙박이별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3(1950만든 과학공부 4-2’의 116, 117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16쪽 첫째 줄에 별자리가 있습니다요즘 배움책에도 별자리라고 나오긴 하지만 다른 책에서는 여전히 성좌라는 말을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성좌라는 한자말이 아닌 별자리라는 토박이말을 쓴 까닭이 무엇인지는 이제 다들 아실 거라 믿습니다.

 

117쪽 다섯째 줄에는 붙박이별이 있습니다요즘 배움책에는 항성이라고 나오기 때문에 여느 사람들은 듣거나 본 적이 거의 없는 낯선 말일 것입니다이런 옛배움책이 남아 있지 않았다면아니 쓸모없는 것이라고 남들이 버림치로 버린 것을 돈을 주고 사 놓으신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님이 계시지 않았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었을지도 모릅니다하지만 김상석 관장님의 도움으로 이렇게 옛배움책에서 썼다는 것을 똑똑히 볼 수 있어 짜장 고맙습니다.

 

우리들 가운데 밤하늘에 반짝이는 것들을 보고 이라고 부르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입니다그렇다고 한다면 우리 아이들이 배우는 배움책에도 ‘-이라는 말이 많아야 할 까닭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배움책에 나오는 말이 토박이말이 아니더라도 토박이말로 무엇이라 했는지는 알려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116쪽 여덟째 줄에 나오는 은하수를 보고 토박이말 미리내를 알려 줄 수 있고요즘에 다들 카시오페아라고 부르는 별도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닻별이라 불렀다는 것도 알려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 북극성이나 북두칠성을 토박이말로 바꾸면 무엇이라 하면 좋을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면 아이들에게 새로운 생각을 해 보게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말스런 새말을 만들어 보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이것이야말로 창의적 생각을 이끄는 창의성 교육의 좋은 보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박종훈 경남교육감님께서 경남교육청이 토박이말을 살리는 이끎교육청이 되기로 입다짐을 해 주셨다는 반갑고 고마운 기별을 보았습니다이렇게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과 날마다 맛보는 토박이말을 바탕으로 쉬운 배움책을 만드는 날이 얼른 오기를 비손합니다.

 

4351해 온가을달 열아흐레 삿날(2018년 9월 19일 수요일ㅂㄷㅁㅈㄱ.

 사)토박이말바라기 들기

*이 글은 앞서 경남신문에 실은 글인데 더 많은 분들과 나누려고 다시 싣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