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현대 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박재연) 본문
현대 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
박재연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논의의 구성 2
2. 이전 논의에 대한 검토 3
2.1. 반말의 속성과 관련한 연구 3
2.2. 개별 어미의 의미 기능에 대한 연구 7
3. 반말의 개념과 반말체 종결어미의 설정 11
3.1. 반말의 개념 11
3.1.1. 반말의 정의 11
3.1.2. 반말의 특성 22
3.1.2.1. 어체와 관련한 특성 23
3.1.2.2. 청자대우법과 관련한 특성 25
3.1.2.3. 문장 유형과 관련한 특성 27
3.1.2.4. 양태와 관련한 특성 28
3.2.2. 반말체 종결어미의 설정에 따른 몇 가지 문제 30
4. 반말체 종결어미의 종류와 통사적 특성 41
4.1. 연결어미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44
4.2. 인용구성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61
4.3. 간접의문문 어미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71
4.4. 선어말어미의 융합에 의해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75
4.5. 통사적 구성의 융합에 의해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79
4.6. '-구-' 계열 반말체 종결어미 88
4.7. 반말체 종결어미의 총목록 89
5. 반말체 종결어미의 의미 기능과 용법 90
5.1. 연결어미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90
5.2. 인용구성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103
5.3. 간접의문문 어미에서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110
5.4. 선어말어미의 융합에 의해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114
5.5. 통사적 구성의 융합에 의해 형성된 반말체 종결어미 118
5.6. '-구-' 계열 반말체 종결어미 122
6. 결론 126
참고논저 130
요약 139
'곳간 > 한말글 곳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과 한글 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강창석) (0) | 2015.09.26 |
---|---|
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영역)(강창석) (0) | 2015.09.26 |
한일 양어 신체 관련 숙어의 비교 연구(고바야시 마사아키) (0) | 2015.09.25 |
현대국어 구적 접미사에 대한 연구(최형강) (0) | 2015.09.25 |
현대 국어 보조용언 연구(이선원) (1) | 2015.09.25 |
현대 국어 부정문 연구 (0) | 2015.09.24 |
현대 국어 상황 유형 연구 (0) | 2015.09.24 |
현대 국어 식물명의 어휘론적 연구 (0) | 201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