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60 본문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59-별똥별, 별똥돌, 살별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3해(1950년) 만든 ‘과학공부 4-2’의 130, 131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30쪽 셋째 줄에 ‘별똥별’이 있습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유성’이라고 나오기 때문에 본 사람이 많지 않은 말입니다. ‘유성’은 ‘흐를 유’, ‘별 성’으로 풀이를 할 수 있습니다. 뜻만 가져 오면 ‘흐르는 별’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께서는 ‘별똥별’이라고 하셨는데 아마도 별이 똥을 누는 것으로 보신 것 같습니다. 하늘을 날아가던 새가 누는 똥을 밑에 있던 사람이 맞기도 하는데 하늘에 있는 별이 똥을 누어 떨어지는 것으로 본 것이 재미있기도 하면서 남다르다 싶습니다.
열셋째 줄에 ‘별똥돌’이 있습니다. 앞서 본 별똥별이 타다 남은 것이 땅에 떨어진 것으로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운석’입니다. 이 말도 한자를 풀면 ‘떨어질 운’, ‘돌 석’으로 ‘떨어진 돌’입니다. 하지만 앞서 ‘흐르는 별’인 ‘유성’과 ‘떨어진 돌’ ‘운석’은 서로 잇기가 쉽지 않은 게 참일입니다. 그래도 ‘별똥별’과 ‘별똥돌’은 서로 이을 거리가 있는 말이라서 아이들도 쉽게 알아차리는 말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곳에도 큰 별똥돌이 떨어져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그 뒤에 그 일과 이을 수 있는 빵을 만들어 파는 분이 있는데 그 빵이름을 ‘별똥돌빵’이라고 지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다.
131쪽 셋째 줄에 ‘살별’이 있습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혜성’으로 나오기 때문에 아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이 말도 한자를 풀면 ‘빗자루 혜’, ‘별 성’인데 ‘유성’이 그런 뜻인 줄 알고 있는 사람을 이제까지 한 사람도 만나지 못 했을 만틈 우리 삶과 동떨어진 말인 것은 틀림이 없습니다.
‘살별’은 아는 사람을 만나기는 어렵지만 ‘살별’에서 ‘살’이 우리가 잘 알고 쓰는 ‘햇살, 물살, 화살, 빗살’의 ‘살’과 같은 ‘살’이라고 하면 우리 아이들을 비롯해 못 알아듣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이렇게 옛배움책에서 쓴 토박이말이 있다는 것을 알려 드려도 저마다 배워 알고 있는 말이 눈과 귀에 익은 나머지 토박이말이 낯설다는 분들이 많아 마음이 아픕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은 ‘살별’을 먼저 알고 그 다음 ‘혜성’과 ‘comet’을 알게 되도록 해 주고 싶습니다.
쉬운 배움책 만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열었던 세 돌 토박이말 어울림 한마당 잔치의 참 뜻을 헤아리는 분들이 많아지기를 두 손 모아 빕니다.
4351해 열달 서른하루 삿날(2018년 10월 31일 수요일)
'토박이말 바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박이말 맛보기]우두덩 (0) | 2018.11.06 |
---|---|
[토박이말 맛보기]우덜거지 (0) | 2018.11.05 |
[토박이말 되새김]4351_10-5 (0) | 2018.11.02 |
[토박이말 맛보기]우긋하다 (0) | 2018.11.01 |
[토박이말 맛보기]우격 (0) | 2018.10.30 |
[토박이말 맛보기]왼소리 (0) | 2018.10.29 |
[토박이말 되새김]4351_10-4 (0) | 2018.10.26 |
[토박이말 맛보기]외다 (0) | 2018.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