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88 본문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88-사람, 날, 고른수, 물기, 내어보내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4해(1951년) 펴낸 ‘셈본 6-1’의 14쪽, 15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4쪽 첫째 줄에 “다음 셈을 하여라.”가 나옵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나오지 않은 말이고 ‘계산’이라는 말이 익은 많은 사람들에게 낯선 말입니다. 그래서 저는 더욱 이 말이 반가운지 모르겠습니다. 나날살이에서도 무엇을 사러 갔을 때나 밥을 먹으러 가서도 다 ‘계산’을 하지 ‘셈’을 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옛날 배움책처럼 ‘셈을 하라’는 말을 썼다면 오늘날 우리가 셈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많이 아쉽습니다.
15쪽에는 반가운 말들이 여럿 나옵니다. 먼저 ‘사람’을 세는 하나치(단위)로 ‘사람’이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 이 말은 앞서 말씀을 드린 적이 있는 말이기도 합니다. 사람을 세면서 몇 사람이라고 하는 것이 가장 알맞고 쉬운 말인데 요즘 배움책에서는 ‘명’을 쓰고 있습니다. 나날살이에서도 ‘사람’보다 ‘명’을 더 많이 쓰는 까닭은 다시 말씀 드리지 않아도 알 것입니다.
다음 줄에 나오는 ‘날’도 마찬가지입니다. ‘날’을 세는 하나치는 ‘날’이 가장 알맞은 말입니다. 그런데 요즘 배움책에서는 ‘일’을 쓰고 있고 나날살이에서도 거의 다 ‘일’을 씁니다. ‘날’이라고 하면 오히려 놀라는 사람도 있을 만큼 ‘일’이라는 말이 낯익은 말이 되었습니다.
열째 줄에 ‘고른수’가 나옵니다. 이 말은 앞서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생각이 나실 거라 믿습니다. 요즘 쓰는 ‘평균’을 가리키는 말인데 ‘평균’이라는 말을 아이들이 좀 더 알아차리기 쉽게 풀어 주는 좋은 말이라 생각합니다.
열셋째 줄에 ‘사람꼴’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명꼴’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사람을 세는 말인 만큼 ‘사람꼴’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면 좋겠습니다.
열다섯째 줄에 ‘물기’가 나옵니다. 이 말은 ‘수분’이라는 말에 밀려 잘 쓰지 않는 말입니다. 사람 몸에 물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를 가리키는 말이라면 ‘수분’보다는 ‘물기’가 더 쉬운 말이라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줄에 나오는 ‘내어보낸다’는 말도 ‘배출’이라는 말보다는 훨씬 쉬운 말입니다.
말을 쓰는 사람들이 골라서 쓴다고 하지만 이렇게 배움책에서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나날살이 말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면 보이지 않은 힘이 그렇게 만드는 것이라고 해야 하겠습니다. 그 힘이 누구를 생각하고 쓰는 것인지 생각해 보면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쪽이 어느 쪽인지 똑똑히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352해 온여름달 열아흐레 삿날 (2019년 6월 19일 수요일) ㅂㄷㅁㅈㄱ.
※이 글은 앞서 경남신문에 실은 글인데 더 많은 분들과 나누려고 다시 싣습니다.
'토박이말 바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박이말 맛보기1]-25 거울지다 (0) | 2019.06.25 |
---|---|
[토박이말 맛보기1]-24 거우다 (0) | 2019.06.24 |
[토박이말 되익힘](6) (0) | 2019.06.21 |
[토박이말 맛보기1]-23 거멀못 (0) | 2019.06.20 |
[토박이말 맛보기1]-21 거꿀알꼴 (0) | 2019.06.17 |
[토박이말 되익힘](5) (0) | 2019.06.13 |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87 (0) | 2019.06.12 |
[토박이말 되익힘](4) (0) | 201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