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2 본문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2 공, 지름, 돌대, 곧은금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4해(1951년) 펴낸 ‘셈본 6-1’의 58쪽, 59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58쪽 첫째 줄에 ‘바로 옆’이 나오고, 둘째 줄에 ‘바로 위’가 나옵니다. 이 말은 요즘 책에서뿐만 아니라 나날살이에서도 쓰는 말이라 다들 익으실 것입니다. 이렇게 옛날 배움책과 요즘 배움책에서 두루 쓰고 있고 ‘직측면’, ‘직상’이라는 어려운 말을 쓰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배우는 아이들 자리에 서서 어떤 말이 더 쉬운 말인가를 생각해 보면 바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섯째 줄에 아주 반가운 말이 보입니다. 바로 ‘공’이라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갖고 놀기 좋아하는 ‘공’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구’라고 나오기 때문에 많이 낯설게 느껴질 것입니다. 하지만 앞에 풀이에 나오는 ‘고무공’처럼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 ‘축구공’, ‘야구공’, ‘배구공’처럼 ‘00공’의 짜임으로 된 말이 많습니다. 그리고 나날살이에서도 ‘고무구’, ‘축구구’, ‘야구구’, ‘배구구’라고 하지 않는 것도 잘 아실 것입니다. 옛날 배움책에서 ‘공’을 쓴 것도 이런 까닭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곱째 줄에 ‘지름’이 나옵니다. 아직 ‘직경’이라는 말을 쓰는 사람이 많지만 요즘 배움책에서도 ‘지름’이라고 해서 좋습니다. 다만 ‘반지름’이라는 말에서 보듯이 한자말 ‘반’과 비슷한 뜻을 가진 ‘가웃’이란 말이 쓰이지 않은 것이 저로서는 많이 아쉽습니다.
말모이 사전에 보면 ‘되가웃’은 ‘한 되 반쯤’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지만 ‘가웃’을 따로 떼어 ‘반’과 같은 뜻이라는 풀이는 없네요. 하지만 앞에 있는 하나치(단위)의 반을 뜻하는 말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이 말의 뜻을 좀 더 넓혀서 ‘가웃지름’처럼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59쪽 여섯째 줄과 일곱째 줄에 걸쳐 나오는 “공의 부피를 재어 보자. 어떻게 재면 좋겠느냐?”는 두 월이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어 좋았습니다. 그 다음 줄에 나오는 ‘셈한다’는 말도 반가웠지만 열셋째 줄에 나오는 ‘돌대’라는 말이 짜장 반가웠고 또 기뻤습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안 나오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낯설어 할 수 있지만 바로 보자마다 무슨 뜻인지는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거의 모든 분들이 ‘회전축’이라고 배웠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도 다 아실 것입니다. 왜 이렇게 쉬운 말을 두고 굳이 ‘회전축’이라는 어려운 말을 쓰게 되었는지 생각하면 할수록 안타까운 마음이 커집니다.
마지막 줄에 나오는 ‘곧음금’은 ‘직선’을 뜻하는 말이라는 것을 앞서 알려드려서 다들 잘 아실 거라 믿습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라고 했던가요? 우리 아이들의 앞날을 생각해서 쉬운 말을 찾아내고 더 나은 말로 다듬어서 쉬운 배움책을 만드는 일에 힘과 슬기를 모았으면 좋겠습니다.
4352해 더위달 열이레 삿날 (2019년 7월 17일 수요일) ㅂㄷㅁㅈㄱ.
※이 글은 앞서 경남신문에 실은 글인데 더 많은 분들과 나누려고 다시 싣습니다.
'토박이말 바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박이말 맛보기1]-37 고갱이 (0) | 2019.07.23 |
---|---|
[토박이말 맛보기1]-36 결곡하다 (0) | 2019.07.22 |
[토박이말 되익힘](10) (0) | 2019.07.19 |
[토박이말 맛보기1]-35 겯고틀다 (0) | 2019.07.18 |
[토박이말 맛보기1]-34 겨끔내기 (0) | 2019.07.16 |
[토박이말 맛보기1]-33 게정거리다 (0) | 2019.07.15 |
[토박이말 되익힘](9) (0) | 2019.07.12 |
[토박이말 맛보기1]-32 겉볼안 (0) | 201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