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74- 밀짚 곶감 꼬치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1해(1948년) 만든 ‘셈본 3-1’의 26쪽, 27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26쪽 둘째 줄에 ‘밀짚’이 나옵니다. 아시다시피 ‘짚’은 ‘벼, 보리, 밀, 조 따위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밀짚’은 ‘밀알을 떨어낸 밀의 줄기’입니다. 요즘 밀짚을 배움감(학습자료)으로 쓰지는 않지만 ‘밀짚모자’는 가끔 볼 수 있습니다. ‘짚’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 가지 더 덤으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우리 둘레에서 볼 수 있는 ‘짚불구이’는 ‘짚불에 고기 따위를 구워 바로 먹는 일 또는 그런 먹거리’를 뜻합니다. 여기에 쓰이는 ‘짚’은 거의 다..
[토박이말 맛보기]일고동/(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일고동 [뜻]일이 잘되고 못됨이 갈리는 매우 종요로운 대목 [보기월]마치 하루하루를 일고동으로 여기며 사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밝날(일요일) 저녁 가시집(처가)에 밥을 먹으러 갔었습니다. 맛있는 걸 만들어 놓으셨다는 기별을 받고 바쁜 일을 제쳐 두고 갔습니다. 아이 밥을 챙겨 주고 가느라 좀 늦었는데 저희가 갈 때까지 기다리고 계셔서 더 미안했습니다. 밥을 먹는데 멀봄틀(텔레비전)에 아주 널리 이름난 사람이 나와 나날살이(일상생활)를 보여 주었습니다. 나라 안뿐만 아니라 나라 밖에도 널리 이름이 알려졌다는 것은 알았지만 사는 것도 참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냥 뭇사람처럼 살아서 그 자리에 간 게 아니라는 것을 똑..
[토박이말 맛보기]인/(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인[뜻]여러 차례 거듭되어(되풀이하여) 몸에 깊이 밴 버릇[보기월]저는 그게 아이들한테 인이 박인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난 닷날(금요일) 지난해 배움을 도왔던 아이들과 다시 만났습니다. 거의 스무날 만에 만났는데 딱 부러지게 뭐라고 꼬집을 수는 없지만 달라져 있었습니다. 뜸(반)이 갈리고 새로운 사람들과 새로운 삶이 비롯한 지 닷새 만이었으니 그럴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달라짐이 좋은 쪽이 아니라서 다시 만난 반가움을 뒤로 하고 쓴소리를 좀 했습니다. 지난해 이 무렵 처음 만나서 했던 물음을 다시 던진 다음 그 때와 무엇이 얼마나 나아졌는지 스스로 견주어 보자고 했습니다. 나이를 한 살 더 먹고 몸도 더 자랐는데 배곳살이..
[토박이말 되새김]온봄달(3월) 한 이레 젊은이들과 자리느낌(분위기)을 맞추는 게 쉽지 않은 걸 보면서 나이는 속일 수 없고 몸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걸 새삼 느꼈습니다. 지난해에는 하루에 여섯 때새(시간)을 하기도 했는데 어제는 네 때새(시간)을 하는 것도 힘이 들었습니다. 새롭게 맞은 따스한 봄과 어울리지 않게 몸이 무거운 것은 밤이 늦도록 노닌 탓만을 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몸에 붙은 군살과 더욱 흐릿해진 눈을 보면 그런 생각이 더 많아집니다. 모자란 잠을 채우고, 셈틀(컴퓨터)를 보는 때새(시간)을 줄여서 몸을 더 많이 움직여야겠습니다. 새로 만난 5배해(학년) 아이들과 처음 만났습니다. 새배해(새학년)을 맞은 만큼 마음가짐을 새롭게 했으면 좋겠다는 말과 함께 세 가지 바람을 이야기해 주..
[토박이말 맛보기]익삭이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익삭이다[뜻]화가 나거나 섭섭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꾹 눌러 참다[보기월]살다보면 익삭일 일도 가끔 있을 것입니다. 옆도 돌아보지 않고 하루를 참으로 바쁘게 보내고 있는데 마칠 때쯤에 무엇을 했는지 돌아보면 남는 게 없는 날이 많습니다. 어제는 버림치로 쌓아두었던 책상과 걸상을 다 꺼내서 버렸습니다. 온 식구들이 나와서 함께 땀을 흘렸습니다. 오랜만에 땀을 흘리고 놀리지 않던 몸을 놀려 뻐근하기는 했지만 깔끔해진 자리를 보니 기분이 좋았습니다. 따로 몸을 더 움직이지 않아도 되지 싶었는데 그래도 이어서 공넘기기를 하는 분들을 보니 대단했습니다. 토박이말 달력과 바른 삶 길잡이를 보고 싶다는 분이 계셔서 보내드렸습니다. 누리그물(인터넷)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