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5-시칼, 밖에, 움키다, 줍다, 비롯하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4해(1951년) 펴낸 ‘우리나라의 발달 6-1’의 3, 4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3쪽 네모 안 그림에 있는 말들 가운데 낯선 말들이 둘이나 있습니다. 그림 오른쪽에 있는 ‘돌칼’이나, ‘돌도끼’는 요즘 배움책에서도 볼 수 있는 낯익은 말입니다. 하지만 ‘돌살촉’과 ‘돌시칼’은 다들 낯선 말일 것입니다. 먼저 ‘돌살촉’은 요즘 배움책에서는 ‘돌화살촉’이라고 한다는 풀이를 하지 않아도 바로 알 수 있는 말입니다. 다만 ‘화살’을 줄여 ‘살’이라는 말을 썼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 말을 보니 몇 날 앞 어느 분이 했던 “‘촉’이 토박이..
안에 있어도 이렇게 더운데 밖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얼마나 더울까? 싶어서 덥다는 말이 나오다가 도로 들어갈 때가 있습니다. 짜장 덥습니다. 가만히 앉아 일을 해도 땀이 나고 몸을 좀 움직이고 나면 땀으로 옷이 흠뻑 젖으니 움직이기가 싫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럴 수도 없으니 움직이고 씻고 또 움직이고 씻기를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어제처럼 더운 날 토박이말바라기 이바지하기(봉사활동)는 쉬지 않고 움직였습니다. 여드렛날 청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열리는 온나라 갈배움 제다스림 생각모임(대한민국 교육자치 콘퍼런스)에 진주행복교육지구 여러 마을배곳을 갈음해 들말마을배곳이 나가기로 했는데 그날 쓸 널알림감(홍보물)이자 겪음감(체험자료)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곳에 온 사람들에게 들말마을배곳과 토박이말 놀배움을 널리 알..
지난 닷날(금요일)은 진주교육지원청에서 마련한 '진주내음 물씬 나는 토박이말 교육' 닦음(연수) 마지막 날이었습니다. 앞낮(오전)에는 제가 '쉬운 배움책'과 아랑곳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옛날 배움책에 나온 토박이말로 된 쉬운 갈말(학술어)을 몇 가지 보여 드리고 쉬운 말로 된 배움책을 만드는 것이 우리 아이들을 행복으로 이끌 지름길이라는 제 말에 많은 분들이 고개를 끄덕여주셨습니다. 이야기 끝에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켜 북돋우는 일에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 모임인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에서 하는 일을 알리는 알림종이(소식지)와 들기바람종이(회원가입 신청서)를 나눠 드렸는데 네 분이나 모람(회원)이 되어 주셨습니다. 게다가 모임돈(회비)까지 절로 빠지게 해 주셔서 짜장 고마웠습니다. 모람이 되어 주시고 모임돈..
토박이말을 맛보여 드리는 일에 너무 많은 때새(시간)를 들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를 가끔 듣습니다. 글을 쓰고 여러 곳에 나르는 것까지 생각하면 그렇다고 하고 또 보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똑똑히 알기는 어렵지만 제 글을 둘레 사람들에게 나눠 주는 사람들을 보면 더더욱 보람이 없는 일이라는 말까지 들었습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제까지 제 글을 봐 주신 분들께 고마운 마음뿐입니다. 둘레 사람들에게 나눠 주시는 분이 많지 않은 것은 제 글이 맛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가진 솜씨가 모자라기 때문인 것이지요. 앞으로 토박이말을 보는 눈높이나 자리느낌(분위기)이 달라질 것이고 그러면 뛰어난 솜씨를 가진 분들이 토박이말을 맛있게 만들어 나눠 줄 거라 믿습니다.^^ 어제 닦음 갖춤(연수 준비..
날씨가 여름답습니다. 짜장 덥네요. 더위를 식히러 골짜기로 바다로 가 계신 분들은 참 잘 왔다 싶을 것 같습니다. 저는 어제 진주교육지원청에 닦음(연수)을 하러 오신 선생님들과 함께했습니다. 이런 더위에 또 남들은 말미를 떠나 쉬고 있을 때에 자리를 해 주신 분들이 고맙기도 했고 우러러보였습니다. 티비엔 경남교통방송 '토박이말바라기' 꼭지 이야기를 들려 드리고,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켜야 할 까닭을 말씀드렸습니다. 제철 토박이말로 들가을달(8월)에 알고 쓰면 좋을 토박이말 10낱말을 알려드린 다음 찾기 놀이를 했습니다. 찾기놀이를 한 다음 토박이말 '고리눈'을 새긴 안경닦이를 선물로 드리면서 이노티안경 하동점 도움으로 만든 것임을 알려드렸습니다. 낮밥을 먹고 뒤낮에는 옛놀이와 함께하는 토박이날 놀배움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