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36)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그치지 않고 이어서 내릴 것 같던 비는 어제 뒤낮(오후)부터 내리지 않았습니다. 해가 살짝 나오니 그야말로 끈끈한 더위가 살갗에 착 달라붙는 것 같았지요. 다른 사람보다 더위를 많이 타는 저는 그런 더위가 견디기 어렵습니다. 남들은 견딜만 하다고 해도 저는 바람틀을 돌려야 하고, 다른 사람들이 바람틀만 해도 좋다고 할 때도 저는 찬바람틀을 돌리곤 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더위를 안 탈 것 같이 생겼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제 배곳 안 토박이말 갈침이 모임을 했습니다. 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저만 이야기를 하고 다들 가만히 듣고만 계시는 걸 바꾸고 싶은데 그게 쉽지 않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앞서 뭘 읽거나 보고 와야 하는데 그렇게 하면 또 짐스러워 하실 것 같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
오란비(장마)가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비가 어제부터 쉬지 않고 내립니다. 걸어가도 될 곳을 비가 오니 수레를 몰고 나온 사람들이 많아서 길이 막히는 걸 보며 사람 마음은 비슷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어제는 들말마을배곳 움직그림 동아리 아이들이 저를 찾아왔습니다. 토박이말을 널리 알리는 움직그림을 만들어서 올릴 거라고 하더군요. 아이들이 스스로 앞생각(계획)을 짜고 스스로 찍도록 하고 옆에서 살짝 살짝 도와 주시는 갈침이님의 꼼꼼함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혼자 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주신다는 것을 알았지요. 아이들과 함께 마을에 있는 아름다운 토박이말 이름 가게를 찾아 보기로 했는데 미리 여러 가지 것들을 챙겨 보시고 아이들 스스로 배움이 이루어지도록 챙기시는 마을배곳 갈침이님들을 보..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89 닮은꼴, 늘인그림, 줄인그림, 짝진변, 짝진각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4해(1951년) 펴낸 ‘셈본 6-1’의 42쪽, 43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42쪽 첫째 줄에 ‘닮은꼴’이 나옵니다. 요즘 배움책에는 ‘도형의 닮음’이라고 하기 때문에 조금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닮다’라는 말을 나날살이에서 많이 쓰고 처음 보더라도 생김새가 닮은 것을 말하는 것임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앞서 ‘도형’을 옛날 배움책에서 ‘그림꼴’이라고 했다는 것을 보여 드린 적이 있어서 ‘닮은꼴’이라는 보신 분들은 낯설지 않은 말일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그림꼴’이라는 말을 두루 썼던 옛날 배움책에서는 ‘닮은꼴’이 ..
어제 밤에 아이를 태우러 가서 배곳 마당을 몇 바퀴 돌았습니다. 좀 더 일찍 가서 더 오래 돌고 싶었는데 글을 쓰다가 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티비엔경남교통방송 토박이말바라기 꼭지 글을 쓰다가 나갔는데 밤바람이 시원함을 넘어 사늘해서 글에 썼던 낱말 '산득산득하다'가 떠올랐습니다. 이렇게 알고 있으면 문득문득 생각도 나고 쓸 수 있어 좋은데 이런 좋은 느낌을 다른 분들도 느낄 수 있게 해 드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6배해 아이들과 '빛과 렌즈'를 배우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렌즈'를 '거울'이라고 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아이들 말을 들어봐도 '거울'과 '렌즈'는 쓰임새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이름이 있어야겠는데 알맞은 이름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슬기를 보태주시..
지난 닷날 뒤낮(오후) 진주교육지원청 행복교육지구 일을 맡아 보시는 김혜영 선생님과 마을교육 활동가 김연희 선생님 두 분이 들말마을배곳에 다녀가셨습니다. 마을배곳을 어떻게 꾸려 가는지 보러 오신 줄 알았는데 많은 것들을 물어보셨습니다. 자리에 함께하신 마을배곳 갈침이와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모람님들이 나눠 주신 마음 속 이야기를 들으며 많은 울림을 받았습니다. 들말마을배곳을 잘 꾸려 가는 힘이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 똑똑히 알 수 있어서 기뻤고 고마웠습니다. 앞으로 잘 꾸려 갈 수 있도록 더욱 힘껏 도와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엿날(토요일) 앞낮 강병환 으뜸빛님을 뵙고 그 동안 있었던 일을 알려드리고 함께 마음을 써 주셨으면 하는 것을 말씀 드렸습니다. 많이 바쁘신 분께 또 짐스러운 말씀을 드리는..